티스토리 뷰
2023년 초에 있었던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기억하시나요? 뱅크런으로 2일 만에 파산하게 된 이 사건은 우리나라에도 경각심을 심어주기도 했습니다. 모바일 뱅킹이 간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더더욱 뱅크런에 대해서 유의해야 하는데요. 간편한 모바일 접근성은 잘못된 정보도 쉽게 퍼질 수 있도록 합니다. 그렇기에 정확하지 않는 정보로 인한 뱅크런을 경계해야 하며, 잘못된 정보를 스스로 팩트체크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축은행 건전성을 파악할 수 있는 'BIS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및 조회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 합니다.
BIS비율
BIS비율은 자본적정성을 의미합니다. 자산총액이 1조 원 이상인 상호저축은행은 최소 8% 이상의 BIS비율, 즉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해야 위기 시 대처가 가능하다고 봅니다.
한편으로는 이 BIS비율이 높다고 해서 은행 건전성이 좋은 것만이 아니라, 오히려 지나치게 BIS비율이 높을 때 자산 운용이 비효율적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으니 이 점 유의하셔서 보시면 되겠습니다.
저축은행 BIS비율 확인 방법
'금융통계정보시스템'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1. '금융통계정보시스템' 접속
2. 통계표조회> '저축은행-자본적정성-BIS기준 자기자본비율 산출내역' 선택
3. '저축은행' 상단 네모박스를 클릭하셔서 전체 선택이 되도록 하고,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체크합니다. 조회 기간은 3분기 별로 조회가 가능하며 현재는 2023년 6월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해당 자료는 '엑셀'로 다운로드하여 올림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간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BIS 비율과 함께 알아두면 좋은 지표 '고정이하여신비율' 입니다.
은행의 총 여신(대출) 중에서 회수에 문제가 생긴 여신을 보유하고 있는 수준을 나타내는 건전성 지표입니다. 이 비율이 낮을수록 해당 은행이 보유한 여신의 건전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저축은행 고정이하여신비율 조회 방법
1. 다시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의 통계표로 돌아와서 '저축은행>주요경영지표>여신건전성'을 선택합니다.
2. 저축은행 전체 선택 후 통계항목에서는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체크한 후 조회를 눌러 결과를 확인합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조회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기별 자료라 지금 시점에서는 23년 6월말 자료가 최신 자료인 점 감안해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금융통계시스템을 통해 국내 저축은행의 ‘BIS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외에도 예금보험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금융회사의 재무적 건전성을 보는 다른 재무지표에 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 포스팅이 도움 되셨기를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